javascript

js 문법

cheesecrust1008 2022. 3. 14. 17:38

템플릿 문자열은 문자열 안에 &{}를 활용하여 문자열안에 중괄호안의 결과값을 삽입한다.

이전에 다른 언어에서는 'asd' + a + 'ad' 라고 표현했다면,

let word = a

'asd${word}ad' 이렇게 표현 할 수 있다.

 

NaN = '숫자 자료형이지만, 숫자가 아닌 경우'

이에 예시는 let a = Number('word') 이렇게 나타낸다면 a는 NaN이 되는 것이다.

 

문자열에 대하여 숫자로 + 연산을 하게 되면, 숫자가 문자로 바뀌게 된다.

 

=== : 값과 자료형 모두가 같은지 비교 '51' === 51 : false

== : 값이 같은지 비교 '51' == 51 : true

 

|| 연산자를 변수 초기화에 활용

let a = A || B 이때 A가 참이면 (정의가 되어 값이 들어가 있으면) a 는 A의 값이 할당되고,  A 가 정의되 있지 않거나 값이 없으면 그 뒤의 B가 할당이 된다.

 

for in // for of

for (인덱스 in 배열)  // for (요소 of 배열) 이런 식으로 사용된다.

 

let : let은 해당 블록에서만 쓰이는 변수들

var: var은 모든 곳에서 사용이 가능한 ㅋ워드들이다.

 

함수 선언 방법 3가지 

1. 익명 함수   let 함수 = function(){}

2. 선언적 함수  function 함수(){}

3. 화살표 함수 let 함수 = () => {} 

 

콜백함수 : 함수를 인자로 받아서 함수안에서 함수를 호출하는 것이다 이때 인자로 들어가는 함수를 콜백함수 라고 한다.
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s 추가문법과 함수  (0) 2022.04.14
js 문법  (0) 2022.04.13
js  (0) 2022.02.21
js 배열  (0) 2022.02.15
ES6  (0) 2022.02.10